미래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 방안 알아보기

‘Post 교토의정서’ 논의를 위한 파리총회 개최를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이 금년 하반기 국제사회 최대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의 탄소배출 저감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미국은 청정전력계획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2% 저감하겠다고 발표했고, EU도 2030년까지 40%를 저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Post2020'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BAU 대비 탄소배출량 37%를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로 인해 향후 에너지 시장에서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도 강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회사가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미래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회사의 대처방안으로 ’에너지원 다양화‘, ’기술개발‘ 그리고 ’수요관리 강화‘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추진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에너지원 다양화를 통한 탄소배출 총량 저감

석탄은 탄소배출계수가 991(g/kwh)로 현존하는 에너지원 중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연료이다. 하지만 우리회사는 신규 발전소를 준공할 경우 유연탄 발전비중이 58.3%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석탄에 집중된 에너지원을 다양화시켜 탄소배출 총량을 저감해야 한다. 먼저,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탄소배출 Zero의 Clean에너지 이다. 정부는 2029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1.7%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에너지자립섬 조성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2030년 3GW까지 확대해야 한다. 또한 복합화력 이용률 향상도 필요하다. LNG는 석탄대비 탄소배출량이 45%에 불과하다. 우리회사는 복합설비 발전용량을 32.5% 보유하고 있지만, 서울의 금년 상반기 이용률이 16.83%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용률을 향상시켜야만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다. LNG 직도입, 셰일가스 적용 등을 통해 발전원가를 낮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 기술개발을 통한 석탄화력 탄소배출량 저감 

신재생에너지가 Grid Parity를 달성하더라도 석탄화력을 즉시 대처할 수는 없다. 또한 석탄화력은 앞으로도 우리회사의 주력사업이다. 따라서 친환경 기술개발을 통해 석탄화력의 탄소배출량을 저감시켜야 한다. 먼저,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IEA에 따르면 CCS는 향후 탄소배출 저감량의 20%를 담당하는 기술이 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R&D를 추진하여 CCS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석탄화력 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현재 표준석탄화력 Retrofit 및 700℃ A-USC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회사도 기술개발에 참여하여 표준석탄화력 효율을 10% 향상시켜 단위 출력당 탄소배출량을 저감시켜야 한다.

 

3. 수요관리를 통한 탄소배출 최소화

IEA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75%가 절약을 통해 절감된다고 한다. 특히 ICT 기술 및 에너지저장 기술의 발달로 에너지 정책이 공급에서 수요관리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우리회사도 수요관리를 강화하여 탄소배출을 저감시켜야 한다. 우선, ESS, EMS 등 에너지 저장기술을 개발하여 전력생산을 최적화 시켜야 한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Vesting Contract는 공급물량을 사전에 약정하도록 되어 있다. 에너지 저장기술로 전기를 저장․공급하여 약정물량 이상의 과잉 생산을 방지하여 탄소배출을 저감해야 한다. 또한 전기요금을 현실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소는 전기가 중유보다 12% 저렴하여 에너지 왜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하여 에너지 과소비도 발생하고 있다. 전기요금 공론화를 통해 요금체계를 현실화시킨다면 에너지 절약효과로 탄소배출도 저감시킬 수 있다.

결론

UN 미래보고서 2045는 “2030년 석탄산업이 붕괴하고, 이로 인하여 석탄화력도 사라진다.”는 전망을 했다. 파리총회가 끝나면 전 세계 기후변화 공동대응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우리회사가 이러한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고 2050년 ‘가장 좋은 회사’가 되기 위해서는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너지원 다양화‘, ’기술개발‘ 그리고 ’수요관리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우리 회사 대처방안

탄소배출 절감 요구 따른 우리회사의 미래 대처방안 분석해 보기